본문 바로가기

상대시가3

상대시가 (3) - 황조가 翩翩黃鳥 (편편황조) : 훨훨 나는 꾀꼬리 雌雄相依 (자웅상의) : 암수 서로 즐거운데 念我之獨 (염아지독) : 외로울사 이 내 몸은 誰其與歸 (수기여귀) : 뉘와 함께 돌아가리 (유리왕) 3년(기원전17) 7월 골천에 별궁을 지었다. 10월에는 왕비 송씨가 죽었다. 왕은 다시 두 여자를 후실로 얻었는데 한 사람은 화희라는 골천 사람의 딸이고, 또 한 사람은 치희라는 한나라 사람의 딸이었다. 두 여자가 사랑 다툼으로 서로 화목하지 못하므로 왕은 양곡에 동궁과 서궁을 짓고 따로이 머물게 했다. 그 후 왕이 기산에 사냥을 가서 7일동안 돌아오지 않았는데 두 여자가 다투었다. 화희가 치희에게 "너는 한나라 집안의 종으로 첩이 된 사람인데 왜 이리 무례한가?"하며 꾸짖어 말했다. 치희는 부끄럽고 분하여 집으로 .. 2011. 11. 29.
상대시가 (2) - 공무도하가 公無渡河 (공무도하) : 임이시여, 그 물을 건너지 마오 公竟渡河 (공경도하) : 임은 기어이 건너시고 말았네 墮河而死 (타하이사) : 오오! 임은 물에 빠져 돌아가셨네 當奈公何 (당내공하) : 임이시여 임이시여, 어이할꼬 공후인은 조선 땅 뱃사공 곽리자고의 아내 여옥이 지었다. 어느 날 곽리자고가 새벽에 일어나서 배를 손질하고 있었다. 그때에 머리가 흰 미치광이 하나가 머리를 풀어 헤친 채 술병을 끼고 거센 물결 속으로 뛰어들어가는 것이었다. 그런데 그 뒤에는 미치광이의 아내가 쫓아오면서 그를 붙잡으려 했으나 결국 미치지 못해서 남편은 물에 빠져 죽고 말았다. 이때 그의 아내는 공후라는 악기를 타며 공무도하(公無渡河)의 노래를 불렀다. 그 노래는 매우 구슬펐다. 노래를 마친 아내도 남편을 따라서 물에 .. 2011. 11. 28.
상대시가 (1) - 구지가 龜何龜何 (구하구하) : 거북아 거북아 - 호명 首其現也 (수기현야) : 머리를 내밀어라 - 명령 若不現也 (약불현야) : 내어 놓지 않으면 - 가정 燔灼而喫也 (번작이끽야) : 구워서 먹겠다 - 위협 는 세계와 자아의 동일성이 당연시되던 시대의 노래입니다. 『삼국유사』 가락국기의 문맥을 보면, 그야말로 여러 사람의 입은 쇠도 녹인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고나 할까요. 환상문학에서 얘기하는 '언령'과도 같다고 볼 수 있지요. 기우나 풍요를 기원하는 노래를 여럿이서 함께 부르는 집단주술의 형태로 보여주는 것이 '구지가'입니다. 이는 영고, 무천, 동맹 등의 국중대회에서 보이는 집단적 제의로서의 공동체적 성격, 풍요제의로서의 주술-종교적 성격과 다를 바 없습니다. 이처럼 풍요를 기원하던 노래는 고대국가의 형성.. 2011. 11. 26.